SSD를 사기전 고려해야할 점이 몇가지 있다

  • 휴대성이나 여러 컴퓨터간 자료 전송이 목적인 경우엔 USB 3.1 Gen 2를 지원하는 외장SSD를 사면 된다
  •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
    1) M.2 슬롯용 SSD가 필요한 경우
    1-1) M.2 슬롯이 지원하는 인터페이스가 PCIe 3.0(Gen 3)인지, 4.0(Gen 4)인지 확인 한 뒤
    1-2)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SSD를 사면 된다

    2) SATA3 슬롯용 SSD가 필요한 경우
    2-1) 2.5″ SSD 중, 사용기를 참고하여 실제 성능이 잘 나온다고 하는 제품을 알아본다.

[연관 글 : 저장장치의 종류와 속도 정리 (NVMe M.2, USB, SATA 각 타입별 SSD, HDD의 속도 정리)]

보통은 이렇게 구매하면 되는데,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고려해봐야 할 것이 있다.
바로 4K 랜덤 읽기, 쓰기이다 (4K는 화질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저장장치에서 말하는 4K 랜덤 읽기/쓰기 속도는 작고 분산된 데이터를 얼마나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1. 4K
    • 데이터를 4KB 크기 블록 단위로 읽거나 쓰는 작업을 의미한다.
    • 이는 운영체제와 저장장치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본 데이터 단위 크기 중 하나이다.
  2. 랜덤(Random)
    •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거나 쓰는 것이 아니라, 저장 장치의 임의의 위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을 말한다.
    • 예를 들어, 여러 작은 파일을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상태에서 읽거나 쓸 때 랜덤 I/O가 발생한다.

크기는 크지 않지만, 많은 파일을 읽고 쓰는 속도를 좌우하는 것이 바로 4K 랜덤 읽기 쓰기 능력!
일반적으로 운영체제의 작동이나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베이스 같은 작업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영상파일처럼 파일 하나에 몇 Gb씩 하는 초대용량 파일을 전송하는 것은 NVMe 방식이 절대적으로 빠르다.
그러나 그런 영상파일을 제외하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처리하는 대부분 파일들은 수 십 MB 이하의 파일들이고 이를 빨리 처리하는데 쓰이는 능력이 바로 4K 랜덤 읽기 쓰기 능력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무조건 NVMe M.2 SSD를 고집할 것이 아니라 사용 환경에 맞는 선택이 필요하다


SATA3 SSD와 NVMe PCIe Gen3,4 SSD의 차이는?

SATA3 SSD와 NVMe PCIe Gen3 SSD의 4K 랜덤 읽기/쓰기 속도 차이는 이론상 2~4배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 SATA3 SSD는 4K 랜덤 작업에서 30~50MB/s 수준의 속도를 보이며, 고급 모델은 100MB/s에 가까운 성능을 낼 수 있다.
  • NVMe PCIe Gen3/4 SSD는 평균적으로 300~500MB/s 정도의 성능을 기록하며, 일부 고성능 모델은 600MB/s를 초과하기도 한다.

다만, 이론적인 대역폭 차이(6Gbps와 32Gbps)만큼의 성능 격차는 4K 랜덤 읽기 쓰기 작업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NVMe SSD도 작은 파일 처리 시 NAND 플래시 메모리의 구조적 제약과 I/O 병목 현상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SATA와 NVMe의 4K 랜덤 읽기 쓰기 속도 차이]

실제 사용기에 따르면, SATA3 SSD와 NVMe M.2 SSD간 4K 랜덤 읽기 쓰기의 성능 차가 그리 크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결과적으로, NVMe PCIe Gen3/4 SSD는 SATA3 SSD보다 4K 랜덤 읽기/쓰기 성능에서 큰 우위를 보이지만, 실제로는 병목 현상도 있고, 이론적인 대역폭만큼의 엄청나게 큰 차이는 나지 않는다.

사람들의 사용기 처럼 실제 체감 성능 차이는 작업 환경과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서는 성능 차이를 거의 체감할 수 없는 경우도 많다.

예컨대,

  • 100GB 짜리 파일을 전송할 때, SATA3 SSD로 전송 시 200초 걸리던 로딩시간이 NVMe M.2 SSD의 경우엔 35초 정도로 비약적으로 단축된다고 해도
  • 게임과 같이 많은 파일을 로딩해야 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경우 SATA3 SSD로 30초 걸리던 로딩시간이 NVMe M.2 SSD의 25초 정도로 단축되므로, 순차 전송의 속도향상 대비 드라마틱한 변화는 없다.

결론

  1. 수 MB 크기의 사진 파일 하나를 옮길 때:
    • 파일 크기가 크고 순차적인 전송이 가능하므로 순차 읽기/쓰기 성능이 더 중요하다.
      → NVMe PCIe 4 M.2 SSD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2. 여러 개의 작은 사진 파일을 옮길 때:
    • 파일들이 여러 위치에 흩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럴 때는 4K 랜덤 성능이 더 중요 해진다. 여러 파일을 임의의 위치에서 빠르게 읽고 써야 하기 때문이다.
      → NVMe PCIe M.2가 유리하지만, 개인 성향에 따라 SATA3 SSD로도 충분할 수 있다

어떤 작업을 위해 SSD를 사용할지, 본인의 사용환경에 맞게끔 순차 전송속도와 4K 랜덤 읽기 쓰기 속도를 고려하여 구매하면 조금 더 가성비 좋은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다만, 지금처럼 NVMe SSD와 SATA SSD간 가격차가 거의 없고 M.2 슬롯 여유가 있다면, 아묻따 NVMe PCIe SSD임에는 틀림 없다! 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